SEJIN FnG

  • Home
  • 회사소개
    • 인사말
    • 사업분야
    • 오시는길
  • 화학제품
    • 화학제품
      • 알데히드 제거재 Aldehyde Buster
        • VOCs
        • 새집증후군
        • 포름알데히드
        • 아세트알데히드
        • 포름알데히드 제거
        • 알데히드 제거재 Aldehyde Buster
      • 대전방지제
        • 정전기
        • 대전방지제
          • 대전방지제
          • M-6502
          • 제전양면매트 #5607
          • 도전시트#5601 #5608
        • 층간소음방지매트
    • 특수장비 연구개발
  • 특수효과용 제품
    • Color Powder
      • 홀리축제
    • Snow
  • 친환경소재
    • Natural foam
    • Natural Eggshell Calcium
      • 난각칼슘이란
      • 난각칼슘의 용도
      • 난각칼슘의 제조방법
      • 난각칼슘제품 SPEC
  • 제품문의
  • English
    • Natural Foam is
    • Natural Snow is
    • Eggshell Calcium is
      • Grade & Spec
  • 난각칼슘이란
  • 난각칼슘의 용도
  • 난각칼슘의 제조방법
  • 난각칼슘제품 SPEC
  • contact us

난각칼슘이란...

 
  • US$100 bill emerge from egg shell계란을 이용한 제품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나오는 난각(계란껍질)을 가공하여 분말화한 제품.
  • 수거된 난각을 화학적/물리적 방법등으로 가공하여, 불순물을 제거하고 순도를 높임.
  • 칼슘함량이 높은 생체기반의 자연원료이므로, 고부가가치의 친환경 원료로서 다방면에 활용가능한 소재임.
  • 다른 종류의 탄산칼슘류들이 사용될 수 없는 식품 / 의약품 / 화장품등 인체에 직접사용하는 모든 제품에 안전한 원료로써 사용가능함.
  • 우리나라는 현재 PCC부문에서 년간 25,000톤(약 3,000억원) 이상을 해외로부터 수입하고 있는 실정이므로 자원 자급화가 시급함. (주수입국 일본, 중국)  

천연칼슘

  • 자연에서 얻어지는 칼슘이며, 원료에 따라 다시 광물성과 비광물성으로 나눌수 있다.
  • 광물성은 석회석(시멘트의 주원료이고)등이 있고,
  • 비광물성은 난각, 패각 등이 있다.
합성칼슘

  • 화학적 합성에 의해 얻어지는 칼슘으로
  • 염화칼슘, 질산칼슘, 황산칼슘등이 있다.
난각칼슘

  • 계란껍질을 가공하여 분쇄한 제품.
  • 제조방법에따라 소성법과 비소성법으로 나뉨.
  • 주로 식품 / 의약품 / 화장품등 인체에 직접 작용하거나 닿는 제품에 사용됨.
패각칼슘

굴 / 대합 / 가리비 등의 껍질을 분쇄하여 제조.

  • 표면에 이물질이 많아서 주로 사료용 / 비료 / 공업용으로 쓰임.
  • (표면자체의 이물질도 많고, 경도가 높아서 분쇄과정에서 분쇄기의 톱니바퀴등에서 금속파편이 혼입되는 경우가 많음. )
  • 식용으로는 부적합함. (실제로는 쓰이고 있음-저가의 어묵,햄,제과,분식등)
해조칼슘

  • 불가사리 / 산호등을 분쇄하여 제조.
  • 주로 비료 / 공업용등으로 사용

  • 계란의 활용
  • 난각 (Eggshell)
  • 지금까지 우리가 계란에서 실생활에 필요한 부분을 얻은 것은 난백(흰자)과 난황(노른자)이다.

    나머지 부산물(난각,난막)은 쓰레기로 버려져 왔던 것이 사실이다. ( 여기에서 쓰레기로 버린다는 것은 처리비용이 드는 정상적이고 합법적인 과정을 거치는 처리를 의미한다.)

    하지만 최근 선진국들에 의해 난각과 난막의 자원으로서의 효용성이 증명되며 그 활용도가 비약적으로 증가했다.

    이로써 계란은 버릴게 하나도 없는 완전식품이자 그 부산물까지도 100% 활용되는 친환경바이오자원이 된 것이다.

    난막의 경우는 공정중에서 회수되어 화장품이나 의약품, 식품(조미료,향미제),섬유의 원료로 사용된다. (실제 일본의 경우 스모선수들이 경기중 찰과상을 입을 경우 옛날부터 난막을 붙여서 상처를 아물게하는 요법이 내려오고 있음)

    계란전체에서 중량대비 10%전후를 차지하는 난각은 소성/비소성 등의 방법으로 분말화되어 여러 가지 귀중한 고급자원으로서의 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다. → (난각칼슘 Egg Shell Calcium)

    계란소비가 많은 우리나라도 일반가정에서 소비되는 계란의 물량또한 엄청나므로 이것까지 회수되어서 재활용된다면 부족한 자원에 대한 기여도가 엄청나겠지만, 우리나라 현실상 개별가정의 “사용후 계란껍질”을 분리수거 한다는 것이 시간상으로나, 경비상으로나 여러방면에서 힘든 것이 사실이다.

    그래서 식품가공등을 위해 대량으로 달걀이 가공되는 공장에서, 위생적인 설비와 작업과정을 거쳐나온 집약적 물량의 달걀부산물들에 대해서만 현재 재활용이 추진되고 있는 실정이다.

    흔히들 쓰는 말로는 달걀껍질이다.

    Broken eggshells

    난각은 난종에 따라서도 약간의 차이는 있지만 총계란 중량의 약 10%를 차지한다. 성분으로는 주로 탄산칼슘으로 되어있고 기타 각각 1% 이하의 탄산마그네슘과 인산칼륨, 단백질과 다당류로 이루어지는 유기물을 약 2% 함유한다. 난각은 3층으로 구성되어 두께는 평균 약 0.3mm이다. 주된 구성층은 해면상층으로 난배의 호흡에 필요한 산소와 내부에서 발생한 탄산가스의 통로가 되는 기공을 약 100/cm2 함유한 다공질이다. 이 기공은 표면에서는 무정형 구조의 큐티클의 박층으로 덮여 있지만 계란이 오래되면 수분도 증발하여 이것에 의해 난각의 내면을 구성하는 난각막이 둔단부에서 2층으로 크게 분리하여 기실이 확대된다. 또한 큐티클은 박리하기 쉽고 미생물도 기공을 통해서 알 내부에 침입한다. 난각의 성상은 조건에 따라 변화하지만 난각란의 품질상 중요한 부분이고 알의 강도나 선도 유지에 관계한다. 난각의 색은 난각이 만들어질 때의 프로토포르피린(protophorphyrin, 색소의 일종)의 양에 의한다. 닭의 품종으로 결정되고 빛깔의 차이 이외에는 품질에 영향하지 않는다.

    우리나라에서 현재 생산되고 유통되는 달걀은 황색란이 대부분이다. 이유는 과거 매스컴에서 황색란이 영양학적으로 더 우수하다는 이론을 소개하면서 시작되었는데, 그결과 닭들의 품종이 서서히 교체되어 지금은 시중에서 볼 수 있는 대부분의 달걀이 황색이 되어 버렸다. 이웃 일본의 경우는 백색란이 주종을 이루고 있다.

    백색란이 콜레스테롤수치가 좀 더 낮다는 설도 있지만, 현재 밝혀지기로는 황색란과 백색란 사이의 영양학적 차이는 거의 없다는 것이 정설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상품 유통과정에 있어서는 황색란이 백색란보다 좀 더 유리한 점이 있는 것이 사실이다. 바로 오염도를 구분하는 시각적 차이 때문이다. 백색란의 경우 경미한 오염이라도 시각적으로 눈에 확 띄이지만, 황색란의 경우 상대적으로 경미한 오염은 시각적으로 잘 구분되지않는 장점(?)이 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마트나 가게에서 깨끗한 상태로 포장된 달걀을 보게된다. 또한 달걀의 상태가 처음부터 이렇게 깔끔한 것으로 알고 있다. 하지만 달걀자체는 산란과정에서 각종분비물,혈액,계분등 오염물질에 당연히 노출되어있다. 산란직후의 달걀은 이런 오염물질이 많이 묻어있다.

    우리가 흔히 접하게되는 달걀의 이미지는 이미 공장에서 세척/건조과정을 거친후 포장된 것이다.

    안전한 먹거리
     
    • 사람이 먹는 음식물에  광물성칼슘이나 공업용약품을 써서는 않됩니다.
    • 광물성칼슘을 식품등에 사용해서 않되는 이유는, 주성분은 천연칼슘과 같지만, 광물성칼슘은 탄산칼슘이외에도 수많은 중금속과 미세물질등을 함유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 2000년대 초반에 미국에서 시판되는 광물에서 채취한 탄산칼슘을 이용한 칼슘보충재(골다공증등 예방)에서 납이 검출되어 사회문제가 되었던 적이 있습니다.
    • 또한 사람이 먹는 식품을 만들면서, 단가 때문에 식품용첨가제 대신 공업용원료를 사용하다 적발되서, 구속되고 여론의 공분을 사는일이 끊이지 않고 있습니다.
    • 예전에 중국에서 두부를 만들면서, 응고제로 가격이 싼 공업용 석회를 썼다가 큰 사회문제가 되었던 적이 있습니다.
    • 한국에서는 수타면에 공업용 소다가 들어가는 사실이 TV고발프로그램을 통해서 알려지면서 전국민에게 충격을 준일이 있습니다.
    • 사료용에나 써야할 저급 패각칼슘이 버젓이 저가의 어묵이나 분식류에 쓰이는 것이 현실입니다.
    • 사람의 건강과 생명보다 돈이 우선시 되어서는 않될것입니다.
    contact us

    Send